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매년 8월은 주민세 납부의 달입니다. 주민세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의 공공서비스, 복지, 인프라 유지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지방세입니다. 개인분과 사업소분의 차이, 납부기간, 조회방법, 납부방법, 가산금, 카드혜택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!
📌 주민세란?
- 지방자치단체가 개인 또는 사업자에게 부과하는 지방세
- 쓰레기 수거, 공원 관리, 지역 도로 보수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운영의 재원이 됨
- 주민세는 크게 다음 3가지로 구분됨
- 개인분 : 세대주가 납부
- 사업소분 : 사업자 또는 법인
- 재산분 : 일정 면적 이상의 사업용 건물 보유 시 과세
👤 주민세 개인분
- 납세 대상: 2025년 7월 1일 기준, 해당 주소지에 거주하는 세대주
- 납부 기간: 2025년 8월 16일 ~ 8월 31일
- 납부 금액: 지자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약 11,000원
- 주의 사항: 납기 초과 시 3% 가산금, 1개월 경과 시 매월 1.2% 중가산금 추가
- 학생, 주부, 군인도 세대주라면 납세 대상이 될 수 있음 (일부 면제 가능)
🏢 주민세 사업소분
- 납세 대상: 지자체에 사업소를 둔 개인사업자 및 법인
- 과세 기준: 사업소 소재지 기준, 전년도 부가세 과세표준 또는 종업원 수 기준 과세
- 납부 기간: 2025년 8월 1일 ~ 8월 31일
- 납부 금액: 업종, 매출, 종업원 수 등에 따라 5만 원 이상 차등 부과
- 주의 사항: 미납 시 체납 처리, 추징, 압류 등 불이익 발생 가능
💻 주민세 고지서 조회 방법
- 위택스 (www.wetax.go.kr)
- 정부24 (www.gov.kr)
- ‘지방세 납부’ 메뉴에서 고지서 조회 가능
- 카카오톡, 네이버, 토스 앱 등에서도 고지서 수신 및 납부 가능
💳 주민세 납부 방법
- 온라인 납부: 위택스, 정부24, 지로 사이트에서 납부
- 모바일 납부: 카카오페이, 토스, 네이버페이 등
- 은행 창구 및 ATM에서 납부 가능 (고지서 바코드 이용)
- ARS 전화 납부: 예) 서울시 1599-3900 등 지자체별 번호 활용
💳 카드납부 시 혜택은?
- 일부 카드사 포인트 사용 가능
- 무이자 할부 이벤트 운영 (카드사별 확인 필요)
- 카카오페이, 토스 등에서 캐시백 제공될 수 있음
- 주의: 일부 카드사는 지방세 납부 금액을 실적에서 제외
🛑 납기 지연 시 유의사항
- 납기 초과 시 가산금 3% 즉시 부과
- 1개월 경과 시 매월 1.2% 중가산금 추가
- 지속 체납 시 번호판 영치, 압류 등 행정처분 발생 가능
📞 주민세 관련 문의
- 주소지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
- 정부민원 콜센터 110번
2025년 주민세는 사업소분은 8월 1일~31일, 개인분은 8월 16일~31일까지입니다. 납부기한을 놓치면 가산금이 발생하니 미리미리 납부하셔서 불이익 없이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. 😊
반응형